
📜 조선 시대 감옥의 국밥 – 도소밥(옥밥)의 기억
1. 옥중에서도 끼니를
조선시대 감옥은 혹독한 추위와 굶주림으로 악명이 높았습니다. 그러나 국가에서는 최소한의 인간적 대우로서, 옥졸이 끓여주는 따뜻한 국밥을 하루 두 끼 정도 제공했습니다. 이것을 당시 사람들은 옥밥 또는 도소밥이라 불렀습니다.
Thank you for reading this post, don't forget to subscribe!2. 내용물은 소박했으나 따뜻했다
국밥이라 해도 진한 곰탕이 아니라, 보리쌀이나 좁쌀을 섞은 밥을 된장이나 맑은 장국에 풀어낸 것이 대부분이었습니다. 여기에 파, 무, 가끔은 소뼈나 닭뼈를 넣어 우린 국물이 더해졌습니다. 죄수들에게는 부족했을지라도, 겨울 추위를 견디게 한 유일한 따뜻한 음식이었습니다.

3. 곰탕과의 인연
후대에 이 도소밥은 ‘곰탕’ 문화와 연결되기도 했습니다. 긴 시간 푹 고아낸 뜨끈한 국물과 밥을 함께 나누어 먹는 풍습이, 감옥에서조차 죄수와 간수, 그리고 시주하러 온 승려들이 함께 맛본 음식에서 비롯된 측면이 있습니다.
4. 역사적 상징성
조선의 옥밥은 단순히 죄수의 밥이 아니라, **“사람은 죄를 지었어도 굶겨 죽여서는 안 된다”**는 최소한의 인권 개념을 반영한 제도였습니다. 비록 소박한 국밥이었으나, 그릇 속에는 인간 존엄을 지키려는 시대의 의지가 담겨 있었습니다.

📰 조선의 옥밥 – 감옥에서 피어난 인간 존엄의 국밥
조선 시대의 감옥은 차디찬 돌담과 습기 어린 바닥으로 악명이 높았다.
그러나 그 안에서도 사람들에게는 최소한의 따뜻한 끼니가 허락되었다. 그것이 바로 **도소밥(都所飯), 일명 옥밥(獄飯)**이었다.
1. 굶주림 속의 따뜻한 국물
옥밥은 죄수들을 위한 최소한의 배려였다. 보리쌀이나 좁쌀, 때로는 콩과 옥수수를 섞은 밥을 된장이나 장국에 풀어내어, 한 끼 국밥으로 내주었다. 특별한 고명은 없었지만, 뜨끈한 국물 한 모금은 혹독한 추위를 견디게 하는 유일한 온기였다.
2. 곰탕과의 잔향
간수나 시주하러 온 승려들이 국밥을 함께 나누는 경우도 있었다. 가끔은 소뼈나 닭뼈가 들어간 맑은 국물이 곁들여져, 오늘날 곰탕과도 닮은 형태를 띠었다. 죄인의 밥상에서조차 푸욱 고아낸 국물이 전해졌다는 점은, 국밥의 기원이 지닌 보편성을 보여준다.
3. 인간 존엄의 상징
조선은 엄격한 형벌 제도를 운영했지만, 굶겨 죽이는 것은 법의 뜻이 아니었다. 옥밥은 “죄는 미워하되, 사람은 굶겨 죽이지 않는다”는 최소한의 인권 감각을 반영했다.
소박하고 초라했지만, 그릇 속에 담긴 국밥은 곧 인간 존엄의 최후 보루였다.
4. 역사의 메아리
오늘날 국밥은 서민의 힘이자 도시의 향토 음식으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그 뿌리를 더듬어 가면, 차디찬 감옥 속의 옥밥까지 닿는다. 도소밥은 국밥의 역사에서 잊혀진 한 줄기이자, 인간의 존엄을 지키려는 시대의 미약한 몸부림이었다.
📌 도소밥은 화려하지 않았다. 그러나 그 뜨거운 김 속에는, 굶주림을 넘어 인간을 지키려는 조선의 마음이 담겨 있었다.
